본문 바로가기

정보 공유

인터넷 속도 측정 기준 방법 확인해 보기

과거 한 대형 유튜버 채널에서 다룬 KT 인터넷 속도 이슈가 꽤나 컸습니다. 그때를 계기로 많은 분들이 인터넷 속도 측정 기준 방법에 대해 알아보고 있습니다. 그래서 오늘 가장 많이 사용하는 인터넷 속도 측정 사이트 3곳을 추천해 드리겠습니다.

 

또한 3곳 이외에도 KT와 SK, LG U+에서 각각 인터넷 속도 측정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데요. 이와 더불어 최저 속도 보장제를 제공하고 있는데 그 내용까지 모두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목차-

1. 인터넷 속도 측정 기준

2. 인터넷 속도 측정 사이트

3. 최저 속도 보장 제도

4. 국가 별 평균 인터넷 속도 순위

인터넷-속도-측정-기준-방법

 

# 인터넷 속도 측정 기준 방법

 

1. 인터넷 속도 측정 기준

평소 집에서 와이파이를 사용하다 보면 느려졌나 싶을 때가 있습니다. 그럴 때 인터넷 속도 측정을 진행하면 되는데요.

 

인터넷 속도를 측정한다고 해도 대략적인 기준을 알아야 이게 정상인지, 느린지, 빠른 편인지 판단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인터넷 속도 측정 기준에 대해 먼저 살펴보겠습니다.

 

이동통신 3사 모두 대부분의 인터넷 속도 옵션은 100 Mbps, 500 Mbps, 1 Gbps로 나누어져 있습니다.

 

각 인터넷 속도 옵션마다 평균 속도가 있는데요. 대략적으로 이 정도 속도 이상이면 정상적으로 제공되고 있다고 보면 됩니다.

  • 100 Mbps - 12.5Mb/s
  • 500 Mbps - 62.5Mb/s
  • 1 Gbps - 125.0Mb/s

그럼 여기서 의문점이 생깁니다. 100메가 요금제를 사용하고 있는데 왜 속도가 초당 12.5메가 바이트면 정상인 걸까요?

 

우리는 흔히 속도 표시인 Mbps(메가바이트)에 대해 잘못 오해하고 있는 부분이 있습니다. 1 Mbps는 1초에 1 Mbit 전송이 가능하다는 뜻입니다.

 

여기서 1바이트는 8비트를 뜻합니다. 그래서 집에서 사용하고 있는 인터넷 속도 요금제가 500 Mbps 속도라면, 500에서 8을 나눈 값이 실제 속도가 됩니다.

 

즉, 500 Mbps의 실제 속도는 62.5Mb가 됩니다. 그래서 인터넷 속도를 측정할 때 이 기준 이상이면 정상적인 속도라고 보시면 됩니다.

 

 

그래서 100메가 인터넷을 사용하고 계신다면 최소 80메가 바이트 이상이 정상이고, 500메가 인터넷이라면 400메가 이상, 1기가 인터넷이라면, 800메가 이상이 나오면 정상이라고 판단할 수 있습니다.

 

2. 인터넷 속도 측정 사이트

인터넷 속도 측정 기준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그럼 이제 인터넷 속도 측정 사이트 3곳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인터넷 속도를 측정하는 사이트는 정말 다양합니다. 그중에서도 가장 유명한 3곳을 추천하는데요. 여기서 가장 쉽고 간편하게 할 수 있는 사이트는 Fast.com입니다.

 

Fast.com 인터넷 속도 측정하기

 

벤치비 인터넷 속도 측정하기

 

한국인터넷진흥원 속도 측정하기

 

이렇게 3곳을 사람들이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습니다. 인터넷 속도 측정 방법도 굉장히 간편해서 1-2분 정도면 측정이 완료됩니다.

 

측정 사이트들마다, 측정 시간에 따라 약간씩 측정한 인터넷 속도의 차이는 있습니다. 그 차이가 크지 않으면 상관없습니다.

 

저는 현재 LG 인터넷을 사용하고 있으며 500 Mbps 속도 요금제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패스트컴에서 측정한 결과 인터넷 속도는 460 Mbps로 정상 수준의 인터넷 속도 측정 결과가 나왔습니다.

인터넷-속도-측정
인터넷 속도 측정

3. 최저 속도 보장 제도

인터넷 속도 측정 기준과 방법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다음은 최저 속도 보장 제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인터넷 속도에 대한 큰 이슈가 있는 후부터 최저 속도 보장 제도라는 것이 많이 알려졌습니다. 이와 더불어 이동통신 3사에서도 측정 기준 커트라인을 30%에서 50%까지 상향하기도 했습니다.

 

KT, SK, LG에서 보장하는 최저 속도 보장 제도는 모두 동일합니다.

 

SLA라는 측정 기준을 사용하며 최저 속도 보장 제도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각 이동통신사 홈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인터넷 속도 측정 서비스를 이용해야 합니다.

 

총 5번의 인터넷 속도 측정을 하고 그중 3회 이상 최저 속도(제공 속도의 50%)가 나올 경우, 당일 인터넷 요금을 면제해 주는 제도입니다.

 

최저 속도 보장 제도라는 것이 결국 인터넷 속도를 측정해서 최저 속도가 나오면 그날 하루의 요금제만 면제해 주는 크지 않은 금액에 대해 보상을 해주는 것이긴 합니다.

 

다만, 이렇게 최저 속도가 나온 날이 총 5회 이상이면 위약금 없이 해당 인터넷을 해지할 수 있기도 합니다.

 

그나마 소비자가 받을 수 있는 최소한의 보장 제도이긴 합니다만, 실제로 최저 속도 보장 제도를 이용하는 건 꽤나 까다롭습니다.

 

5번의 연속된 인터넷 속도 측정을 진행해야 해서 대략 1시간 정도 걸리며, 이를 신청하면 고객센터로부터 어디서, 언제, 어떻게 했는지 등에 대한 질문을 받게 되는데 보상받기가 여간 쉽지 않습니다.

 

4. 국가 별 평균 인터넷 속도 순위

위에서 인터넷 속도 측정 기준 방법에 대해 모두 알아봤고 번외로 가볍게 우리나라의 인터넷 속도는 세계에서 어느 정도 되는지 알아보고 글을 마치겠습니다.

 

우리는 예전부터 IT 강국이라는 이야기를 듣고 살았습니다. 인터넷 속도도 매우 빠르다는 평가도 함께 말이죠.

 

그래서 우리나라가 세계에서 가장 빠른 것 아닌가라는 착각을 하게 되는데 실제로는 조금씩 순위가 밀리면서 현재는 세계 6위에 안착되어 있습니다.

평균-인터넷-속도

전 세계 6위면 그래도 상당히 높은 수준의 인프라와 속도를 자랑하고 있습니다. 그래도 중국이랑 카타르, 쿠웨이트 등 이런 나라들에 비해 느리다는 건 쉽게 받아들이기 어려운 것 같네요..

 


여기까지 인터넷 속도 측정 기준 방법에 대해 모두 살펴봤습니다. 크게 문제가 된 이후로는 대부분 정상 속도가 나오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만약 최저 속도가 나온다면 각 통신사 사이트에서 SLA 측정 검사를 진행해 보시기 바랍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