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인감-도장-만드는-법
인감 도장 만드는 법

누구나 인감도장은 가지고 있어야 합니다. 4차 산업혁명 시기를 살아가고 있지만, 부동산 및 자동차 매매 시에는 본인임을 증명할 수 있는 도장이 있어야 합니다. 이 도장과 함께 인감 증명서가 있어야 거래가 가능한데요. 그럼 인감도장 만들기 방법과 등록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인감도장이 아직 없으신 분들은 손쉽게 만들 수 있으니 천천히 글을 읽고 따라하시면 됩니다.

 

인감증명서 인터넷 발급하기

 

-목차-

1. 만드는 방법

2. 등록 방법

 

# 인감 도장

 

1. 만드는 방법

인감도장을 만들기 위해서는 집이나 회사 근처에 있는 도장집에 가야 합니다. 인감 도장으로 사용한다고 말하면 인감 도장 규격에 맞게 도장을 만들어 줍니다. 시간은 10분 내외로 비교적 짧은 시간이 걸리며 본인 이름이 들어가야 합니다.

 

이때 이름은 한글 이어도 되고 한자여도 무방합니다. 본인 이름이 들어가기만 하면 됩니다. 규격은 지름 7~30mm 이내여야 합니다만, 가장 일반적인 크기는 지름 18~21mm 정도입니다. 인감도장은 일반 막도장과 달리 중요한 도장이기 때문에 도장 재료 역시 다양합니다.

 

 

물론 옥, 보석, 흑단, 흑수 우 등 다양하고 값비싼 재료들로 만드는 경우가 많지만 지나치게 비싼 재료로 굳이 만들 필요까지는 없습니다. 요즘은 인터넷 쇼핑몰에서도 주문 제작이 가능하니 시간 내기 어려우신 분들은 인터넷 주문으로 만들어도 좋을 것 같습니다.

 

2. 등록 방법

인감도장을 만들었다면 이제 등록을 해야 합니다. 등록은 딱 한 번만 하면 되며 대리 등록은 불가능합니다. 꼭 본인이 근처 주민센터에 방문해서 인감 등록을 진행해야 합니다. 등록은 전입신고된 관할 주민센터에서만 가능하며 이후, 인감증명서 발급은 전국 어디서든 가능합니다.

 

또한, 인감증명서는 대리 발급이 되지만 인감 등록은 무조건 본인이 해야 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으니 이 점 유의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인감 등록을 위해서 준비해야 할 것들이 있습니다. 그 준비물은 바로 인감도장과 신분증입니다. 간단하죠? 이렇게 준비하고 주민센터에 방문해서 인감 등록 신청을 하면 등록이 완료됩니다. 생각 외로 아직까지 등록하지 않은 분들이 많습니다. 언제 어디서 필요할지 모르기 때문에 생각났을 때 등록하는 것이 편합니다.

 

 

또한 인감을 등록했는지 하지 않았는지 기억이 나지 않아 헷갈리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때는 주민센터에 방문해서 신분증을 제시하고 등록이 되어 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등록 여부 확인 역시 인터넷으로 불가능하기 때문에 꼭 오프라인으로 방문해서 알아봐야 합니다.

 

인감증명서 인터넷 발급하기

 


이렇게 인감도장을 만들고 인감 등록하는 방법까지 모두 알아봤습니다. 어려울 게 하나 없지만 모두 현장 방문해서 신청해야 한다는 점이 다소 귀찮을 수 있습니다. 그래도 향후 미래에 꼭 필요한 것이기 때문에 미리미리 준비하시길 권해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