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드디어 미국의 테이퍼링이 시작되었습니다. Fed(연방준비제도이사회, 연준) 파월 의장이 11월과 12월에 단계적으로 테이퍼링을 시작할 것을 공식 발표했습니다. 다행히(?) 금리 인상에 대해서는 신중한 태도를 보이며 아직은 금리 인상을 단행하지 않았습니다. 또한, 자산 매입을 수준을 2022년 6월까지 0으로 만들겠다고 이야기했습니다. 전 세계, 특히 신흥국에서 미국 연준의 테이퍼링과 금리 인상 시점에 대해 촉각을 세우고 있는 상황에서 테이퍼링 뜻을 먼저 알아보고 가겠습니다 :) [] 테이퍼링 뜻은?? 미국 연준 파월 의장이 단계적 테이퍼링을 예고하면서 전 세계 중앙은행들이 금리 인상 시점을 점치고 있습니다. 테이퍼링 뜻이 무엇이며 뭐가 그리 대단하길래 이럴까요?? ※ 테이퍼링 : 간단히 말해 '자산매입 ..

최근 계속해서 이야기가 회자되는 비트코인 과세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아무래도 비트코인 세금 과세까지 두 달 밖에 남지 않아 지속적인 관심을 받고 있는 정책입니다. 정부에서 시행되는 세금 정책은 항상 많은 관심을 받습니다. 그만큼 신중하고 여론의 반응을 살펴야 하는데요. 이번에 정부에서 진행하고자 하는 가상화폐 과세 정책, 과연 어떻게 될까요?? [] 비트코인 세금 유예될 가능성이 보인다. 지난 5월과 7월에 국민의 힘 윤창현 의원 및 더불어민주당 노웅래 의원이 발의한 가상화폐 과세를 2023년으로 1년 유예하자는 법안이 제출되었습니다. 그 이후, 지금까지 진전이 없는 상황입니다. 그러나 가상화폐 비트코인 세금이 부과되는 데까지 두 달이 채 남지 않은 상황에서 여야 국회의원들의 유예해야 한다는 의견이 계..

2022년까지 앞으로 두달이 채 남지 않은 시점에서 가상자산에 대한 과세 여부에 대한 관심이 뜨겁습니다. 비트코인과 같은 가상화폐를 통해 얻은 수익에 과세를 하겠다는 건데요. 이에 대한 논쟁이 과열되고 있습니다. 어느 국가나 마찬가지로 수익이 발생하는 곳에는 항상 정부의 과세가 발생합니다. 다만, 이번 가상자산에 대한 과세율이 너무 높지 않나 생각이 듭니다. ㅣ 도대체 얼마를 세금으로 내야 하길래?? 홍남기 경제부총리는 아직까지 완강한 스탠스를 취하고 있습니다. 당장 2022년 1월부터 1년간 가상자산 코인 시장에서 발생하는 이익금의 20%를 세금으로 물겠다는 입장입니다. 단, 250만원까지는 공제하여 비과세 처리를 해주지만, 수익금이 250만원 이상인 경우, 250만원을 제외한 수익금의 20%를 세금으..

연일 세계 경제 뉴스가 시끌 시끌합니다. 인플레이션, 스테그플레이션, 금리 인상, 테이퍼링, 원자재 가격 상승 등 경제에 빨간 불이 켜지고 있다는 뉴스만 들려오네요. 좋지 않은 소식들 중, 오늘 살펴볼 주제는 "중국-호주의 무역갈등"입니다. "무역갈등"이라는 단어를 들으면, 미중 무역갈등 또는 한일 무역갈등이 먼저 생각 날텐 데요. 그에 못지않게 중국과 호주 사이의 무역 전쟁도 뜨거운 감자입니다. 2020년 4월, 호주 스캇 모리슨 총리가 미국과 유럽 등 주요 국가 정상들에게 코로나19 발원지에 대한 국제적인 조사의 필요성을 언급했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중국과 호주의 갈등이 싹트게 되었습니다. ㅣ 중국 vs 호주 무역갈등의 시작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중국과 호주의 무역갈등은 호주 총리의 코로나19 발..

최근 세계 경제가 심상치 않은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중국 헝다그룹의 디폴트, 금리 인상 기조 등에 따른 미국 증시 뿐만 아닌, 전 세계 증시가 출렁이고 있습니다. 당연히 국내 증시 역시 연일 하락세를 보이며 KOSPI 3000 선이 뚫렸습니다. 코로나 시대에 역사상 가장 큰 규모로 이뤄졌던 '양적완화'와 앞으로 예상되는 '테이퍼링' 뜻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ㅣ 양적완화 각종 뉴스와 신문에서 많이 들어보셨을 겁니다. 양적완화. 미국의 연준(Fed)에서 양적완화를 통해 코로나로 인한 경제 침체를 막아왔습니다. 사실, 미국 뿐만 아닌, 세계 각 국 정부에서도 양적완화를 시행했습니다. 양적완화란, 이해하기 쉽게 말하면 돈을 푸는 것입니다. 시중에 돈을 막 뿌리는 겁니다. 시중에 돈을 뿌리는 방식은 달러를 ..

큰 관심은 없지만, 간혹 간혹 일본 총리 선거에 대한 소식이 국내 뉴스를 통해 듣게 되어왔고 일본의 100대 총리가 선출되어 짧게나마 글을 써보고자 합니다. 물리적 거리는 가깝지만 감정의 거리는 참 먼 나라 일본. 아베의 장기 집권 시대가 가고 스가 요시히데가 반짝 스타로 일본을 말아먹고 기시다 후미오가 제100대 총리로 선출되었습니다. 일본은 정치에서 가문 세습이 자주 일어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아버지 또는 할아버지가 정치에 몸을 담았다면 일반적으로 그 후광과 힘을 배경으로 정치 세습이 이뤄지곤 합니다. 이번에 총리로 선출된 기시다 후미오 역시 그의 아버지가 정치를 했던 사람이며, 아버지의 지역구(히로시마현 제1구)에서 첫 정치 인생을 시작하게 됩니다. 이와 더불어, 아버지가 있었던 굉지회 소속의..

최근, 대선 기간으로 접어들면서 여러 후보 및 정당의 이슈들이 자주 언급되고 있습니다. 대선과 다른 이슈로는 '언론중재법'이 핫한 이슈가 아닐까 생각됩니다. 더불어민주당이 강행 처리하려고 했으나, 역풍 위험과 대내외의 반대를 의식하여 강행 처리가 아닌 야당과 협의점을 찾아 법안을 통과시키는 쪽으로 방향을 틀었습니다. 그럼, 도대체 언론중재법이 무엇이길래 야당과 수많은 언론 단체 등이 해당 법안에 우려를 표하고 반대를 하는 걸까요?? ㅣ 언론중재법이란? 언론중재법이란 "언론에 의해 피해를 입은 사람은 누구라도 해당 매체에 반박하도록 되어 있다"(미디어법) 즉, 언론의 가짜 뉴스로 인해 피해를 본 사람은 이에 대해 반론할 권리가 있으며 소송을 통해 보상을 받을 수 있다는 내용입니다. 언론의 가짜 뉴스로 인해..

2020년 5월 22일, 중국 전인대(전국인민대표대회)에서 '홍콩 보안법' 초안 공개 후, 6일 후인 당월 28일에 전체회의 표결에서 해당 법안을 통과시켜 국제적으로 많은 논란이 되었습니다. 도대체 '홍콩 보안법'이 무엇이길래 이렇게 많은 논란이 일어나는 것일까요?? * 홍콩 보안법 - 홍콩 행정, 입법, 사법 기관은 각자의 역할을 수행해야 하며, 홍콩 행정장관은 이를 중앙 정부에 보고해야 한다. - 외국이나 홍콩 외 세력이 홍콩 내정 개입 불가. - 반정부 활동 금지 (핵심) 위와 같은 내용을 포함한 법안이 '홍콩 보안법'이며 그중, 핵심 내용은 "반정부 활동 금지"입니다. "반정부 활동 금지"라 함은, 말 그대로 정부에 반하는 활동을 제재하겠다는 의미이며 각종 시위 또는 개인의 목소리를 낼 수 없게 ..